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브리프

美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및 시사점

작성 2025.09.29 조회 1,285
  • 저자
    김나율 연구원
  • 목차
    1. 美 관세 부과 이후 세계 수출·미국 수입 동향 및 평가
    2. 美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3. 평가 및 시사점
저자
김나율 연구원
목차
1. 美 관세 부과 이후 세계 수출·미국 수입 동향 및 평가
2. 美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3. 평가 및 시사점

 올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면적 관세 부과는 세계 수출 물동량에 단기적 변동을 촉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관세 발표 직후 1주차에 세계 수출 물동량은 평소 대비 25.9% 증가하고 시행 직후 20.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 11월 고율 관세를 예고한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미국의 대세계 수입은 올해 관세 이벤트가 집중된 2~3월까지 높은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410% 보편관세 부과 시점 이후부터 2% 미만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었다. 반면, 세계 수출 물량(world to world)은 트럼프 당선 직후 교역 불확실성으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나, 4월 보편관세 이후 오히려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는 등 4월부터 미국 외 지역으로 세계 수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최대 품목인 반도체를 포함해 일부 232조 품목이 관세 부과를 앞두고 있어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단기적으로 현지 수입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은 재고, 환율, 운임 등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정부는 관세 동향을 상시 모니터링하며 핵심 정보를 신속히 제공해 기업의 선제적 대응을 지원해야 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