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9
모집기간 2023.11.20 ~ 2023.12.11
사업기간 2023.12.12 ~ 2023.12.12
D-9
무역계약 및 Proforma Invoice 작성 원데이클래스
모집기간 2023.11.30 ~ 2023.12.11
사업기간 2023.12.12 ~ 2023.12.12
D-11
(한국무역협회x알리바바그룹 공동) 글로벌 메가몰 활용 수출 전략 세미나(12/14) 개최
모집기간 2023.11.14 ~ 2023.12.13
사업기간 2023.12.14 ~ 2023.12.14
D-11
모집기간 2023.12.01 ~ 2023.12.13
사업기간 2023.12.15 ~ 2023.12.15
D-13
2024 독일 쾰른 스포츠·피트니스 전시회 (FIBO 2024) 한국관 참가 기업 모집(연장)
모집기간 2023.10.25 ~ 2023.12.15
사업기간 2024.04.11 ~ 2024.04.14
D-9
사업기간 2023.12.12 ~ 2023.12.12
D-9
무역계약 및 Proforma Invoice 작성 원데이클래스
사업기간 2023.12.12 ~ 2023.12.12
D-11
(한국무역협회x알리바바그룹 공동) 글로벌 메가몰 활용 수출 전략 세미나(12/14) 개최
사업기간 2023.12.14 ~ 2023.12.14
D-11
사업기간 2023.12.15 ~ 2023.12.15
2023년 수출입 평가 및 2024년 전망
2023년 우리 수출은 전년 대비 7.8% 감소한 6,300억 달러, 수입은 11.8% 감소한 6,450억 달러, 무역수지는 150억 달러 적자로 추정된다. 수출은 9월까지 역성장 이후 10월 증가세로 전환했고, 수입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원유·천연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이 크게 감소, 무역수지는 6월부터 흑자로 전환했다. 올해 수출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과 ICT 수요 감소가 지목된다. 세계 수입 규모 감소(·4.9%), 중국 경기 회복 지연, ICT 품목 수출 부진으로 우리의 세계 수출 순위는 작년보다 2단계 하락한 8위, 세계시장점유율은 2000년 초반 수준인 2.59%를 기록했다. 다만 어려운 대외환경 속에서도 전기차 등 전기동력화 품목이 우리 新수출성장동력으로 부상했다.
트레이드 포커스2023.11.30
순환경제 탈(脫)플라스틱 시대, 국제 동향과 대응전략
플라스틱은 세계 경제의 필수적인 물질로 거의 모든 경제 부문에서 사용되며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광범위한 피해를 주고 있으며, 화석연료에 기반해 생산되기에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를 보이며 지난 15년간 연평균 36% 증가해 2022년 4.0억 톤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도 가파르게 증가하며 2022년 3.7억만 톤에서 2060년 약 10.1억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플라스틱 오염이 21세기 가장 큰 환경 문제 중 하나로 떠오르며, 국제사회가 플라스틱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응하고자 나서고 있다. 플라스틱 전 수명주기에 걸쳐 자원순환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도입하고 일회용품, 비닐봉지, 미세플라스틱 등을 제한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나아가 최근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련을 위한 논의가 가속화되며 플라스틱 오염에 대응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전 주기 플라스틱의 2021년 총수출액은 약 1.2조 달러 규모로, 전 세계 교역량의 약 5%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 중 공업연료와 전구체 부문에서 수출 1위 국가이며, 최종 제품과 플라스틱 폐기물 부문을 제외하고는 전 주기에 걸쳐 수출 상위 7위 이내에 자리할 정도로 플라스틱 수출이 활발한 국가로서 이러한 세계적인 플라스틱 규제 강화 추세에 대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트레이드 포커스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