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트레이드 브리프

수출기업의 2025년 경영환경 전망

작성 2025.02.04 조회 3,431
  • 저자
    허슬비 연구원
  • 목차
    I. 배경
    II. 경영환경 전망 및 투자계획
    III. 대미 통상환경 변화 대응
    IV. 경영환경 개선 정책 수요 및 시사점
저자
허슬비 연구원
목차
I. 배경
II. 경영환경 전망 및 투자계획
III. 대미 통상환경 변화 대응
IV. 경영환경 개선 정책 수요 및 시사점
  우리 수출기업이 바라본 2025년 경영환경은 지난해 대비 소폭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응답 기업의 48.6%는 경영환경이 2024년과 유사할 것으로 기대하는 가운데 37.3%는 악화 우려를 드러냈다. 국내외 투자는 2024년과 유사하겠으나, 투자 축소를 계획하는 기업이 확대 예정인 기업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대외 리스크로는 세계경제 둔화·트럼프 당선에 따른 美 보호무역주의 강화·환율 변동성 등이 지적됐다. 대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해, 특히 무역법을 기반으로 한 美 수출입 규제 확대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졌다. 반면 보편관세는 대미 수출에 큰 타격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2025년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환율 안정, 물류 지원 등 정책 수요가 큰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산업별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0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0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