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美 기준금리 인하 단행 및 향후 금리 전망
2.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우리나라 수출 영향
3. 시사점
美 연준은 9월 FOMC를 통해 기준금리를 0.5%p 인하했다. 美 연준(Fed)의 기준금리 인하 배경으로는 최근 물가상승률 안정,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R의 공포) 우려확대 등을 꼽을 수 있다. 올해 하반기 미 금리인하 폭은 1%p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실증분석 결과 미국 기준금리가 1%p 인하하면 우리나라 對세계 수출은 0.6%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국 금리인하로 인한 수출증가는 ‘글로벌 수요증가→수출증가’ 효과가 ‘원화 강세→수출감소’ 효과보다 크기 때문이다. 미 기준금리 인하로 전자 및 광학장비, 기초 및 가공 금속 등 해외수요 유발 부가가치액이 높은 국내 산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 기준금리 인하로 원화 강세가 예상되나 우리나라 역시 하반기 중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수출 감소분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미국의 금리 인하 이후 신흥국의 수입수요가 개선되면서 우리나라의 對신흥국 수출도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