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통상뉴스

민주당 상원의원 3인, USTR에 FTA 원산지규정 강화법안 지지 촉구

작성 2021.09.14 조회 287

민주당 상원의원 3인, USTR에 FTA 원산지규정 강화법안 지지 촉구


O 미 상원재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 3인이 중국 등 비시장 경제국산 원료 수입규제를 위해 역내조달비중 규정을 포함하는 자유무역협정 내 원산지규정 집행 강화 법안을 발의하고,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 지지를 촉구했음.

- 밥 케이시(펜실베이니아주), 셰러드 브라운(오하이오주), 엘리자베스 워런(메사추세츠주) 상원의원이 발의한 “시장 경제 소싱 법안”은 지난 7월 만료된 무역촉진권한(TPA)법 개정안으로 제안된 것으로, TPA법은 행정부에 대외 무역협상권을 위임하는 대가로 의회가 요구하는 우선 추진 무역의제를 담고 있음.

- 동 개정 법안은 협정 발효 5년 이내 비시장 경제 조달 비중을 20%이하로 제한하고 5년 이후에는 10%로 감축하는 원산지규정 강화 조항을 의무화하고 동 조항이 없는 행정부의 협상 결과물에 대해서는 신속처리협상권을 취소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 이 같은 원산지규정 강화조항은 이른바 ‘롤업 규정’을 겨냥하고 있는 것으로, 동 규정에 따르면 FTA 역내조달비중 요건을 충족하는 중간재가 투입된 완성재의 경우에는 나머지 다른 부품이 역외 제3국산이라 할지라도 역내산으로 인정되어 특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음. 이와 관련 의원들은 동 서한에서 미국이 맺고 있는 무역협정들의 경우 역외 제3국 조달 비중이 50%에 달하는 완성재에도 특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는 곧 무역협정 하 미국 내 수입되는 상품의 구성요소(content) 절반이 중국산일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주장했음.

- 또한 이러한 상품들이 FTA정부조달규정에 따라 ‘미국산’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롤업 규정으로 인해 위해국과 고수준의 노동 및 환경 표준을 따르지 않는 국가들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음.

- 의원들은 이어, USTR이 이미 파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국 내 미국 기업들이 중국 당국의 강제 기술 이전, 지식재산권 제한, 국내 산업 보조 등 다양한 도전과제에 직면해 있는 만큼, 타이 USTR 대표가 동 법안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음.

- 아울러 중국이나 여타 비시장 경제국들이 FTA 특혜를 받으며 원료를 공급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미국의 국가 및 글로벌 경제 이해관계에도 악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음.

출처: Inside US Trade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