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공지·뉴스
연구·통계·관세
지원·사업
자문·상담
협회소개
마이페이지
기업전용
Utility

KITA.NET

통합검색
추천검색어
메뉴선택
기간
검색 옵션

최근 검색어

전체삭제

최근 검색한 이력이 없습니다.

메뉴검색

검색된 메뉴가 없습니다.

무역뉴스

국내뉴스

미국, 한국에 무역 불균형 따지지만… “미 수입수요 증가 탓”

작성 2025.05.29 조회 1,696

미국, 한국에 무역 불균형 따지지만… “미 수입수요 증가 탓”

무협 “우리 대미 무역수지 흑자, 미 진출기업 현지조달로 줄어들 것”

 


22일 오후 경기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수출 차량이 세워져 있다. 


최근 확대된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미국 경제의 수입시장 변화 등에서 비롯되었으며,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현지 조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무역 불균형은 점차 완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5월 29일 발표한 ‘대미 무역수지 확대의 요인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대비 2024년 미국의 한국에 대한 수입 증가분 366억 달러 중 절반이 넘는 277억 달러가 미국 자체의 수요 변화 및 수입선 전환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는 미국 전체 수입시장 규모 확대에 따른 수입 증가가 143억 달러에 달했고, 자동차 및 부품, 화학공업, 전기·전자, 반도체 등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의 미국 내 수요 증가가 74억 달러를 차지했다.

 

또한, 보고서는 미국이 중국의 의존도를 낮추는 과정에서 한국산으로 수입을 대체한 것도 60억 달러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 본격화로 대중국 관세가 급격히 인상되며 미국 내 중국산 제품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하락한 반면, 우리나라는 자동차 및 부품, 철강, 비철금속 등 제품을 중심으로 점유율이 확대됐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우리 제품 자체의 경쟁력 상승으로 일본 등 다른 국가와 비교해 우위를 차지하며 89억 달러 수준의 수입 확대를 유발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확대도 미국의 대한국 수입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진출 기업에 대한 한국산 중간재 수출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고서는 미국 내 우리 기업들의 현지 조달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무역수지 불균형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 내 우리 기업의 현지 조달 비중은 2020년 28.3%에서 2023년 32.1%로 증가했다. 해외 진출 초기에는 확보된 현지 공급처가 적어 한국에서 물자를 조달했지만, 투자가 성숙 단계에 접어들면 현지 네트워크가 형성돼 자연스럽게 현지 조달 비중이 확대되었다는 해석이다.

 

도원빈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미국의 통상 압박 완화를 위해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 확대가 미국의 수입시장 변화에 기인한 점을 적극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면서, “미국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의 현지 조달 확대에 따른 미국 경제 기여와 및 무역수지 불균형 개선도 강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무역신문 제공]

 

목록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