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HS6단위)를 입력하면 세계 주요 58개국각주 달림 중 어느 국가가 유망시장인지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2018년 우리나라 수출의 94%국가 전체 관점의 시장상황과 관련된 국가지표와 개별 품목 관점의 시장상황과 관련된 품목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 항목 | 출처 | 기준시점 |
---|---|---|---|
국가지표 | GDP | IMF | 2020.10 |
인 구 | IMF | 2020.10 | |
Doing Business 내 Trading Across Borders 중 Import 관련 지표 |
World Bank | 2019.10 | |
Country Risk | OECD | 2020.10 | |
품목지표 | 수입통계 증감율(최근 3년 평균) | KITA 해외무역통계 | 국가별 내역 확인하기 |
수입액 | KITA 해외무역통계 | ||
점유율 | KITA 해외무역통계 | ||
기본 세율 | TradeNAVI |
국가별 내역 확인하기 (페이지내 '관세율표 제공현황 안내' 클릭) |
|
규 제 | TradeNAVI | 국가별 내역 확인하기 (페이지 내 '비관세' 체크 후 조회) |
수입통관지수는 통관/검역 소요시간/비용과 서류요건소요시간/비용을 지수화한 값으로, 값이 클수록 통관조건이 안 좋음
국가지표와 품목지표의 개별 항목별로 58개국의 순위(1등~58등)를 정하고, 해당 순위에 가중치를 곱하여 점수가 가장 높은 국가부터 보여줍니다.
항목 | 국가지표(20%) | 품목지표(80%) | 합계 | |||||||
---|---|---|---|---|---|---|---|---|---|---|
GDP | 인구 | 수입통관지수 | C/R | 증감률 | 수입액 | 점유율 | 세율 | 규제 | ||
비중 | 5 | 5 | 5 | 5 | 10 | 40 | 15 | 10 | 5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