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외

닫기

연구보고서

수출입 동향
최근 對중국 및 넥스트차이나 수출부진 요인과 시사점
  • 대륙전세계
  • 국가전체
  • 업종전업종
  • 품목전품목
  • 저자 강내영

2023.04.27 17,701

성별

말하기 속도

※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연구 배경
Ⅱ. 한국의 對중국·넥스트차이나 수출 동향
Ⅲ. 한국의 對중국·넥스트차이나 수출 공급경로
Ⅳ. 對중국·넥스트차이나 수출 변동 요인 분해
Ⅴ. 결론 및 시사점

세계 상품 교역에서 중국의 기여가 축소된 반면 아세안을 비롯한 인도 등 신흥 동아시아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전 세계 상품 교역(수출+수입)에서 중국의 교역 비중은 2010~2015년 중 2.2%p 상승한 후 2015~2021년 중에는 1.6%p 상승에 그치며 상승 폭이 둔화된 반면 아세안 6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싱가포르)을 비롯한 인도의 경우 2010~2015년 중 세계 교역 비중이 0.3%p 상승에 그쳤으나 2015~2021년 중에는 0.8%p로 크게 상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침체로 우리나라 1위 수출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중국의 대체 시장으로 꼽혔던 넥스트차이나(아세안6개국+인도) 지역으로의 수출마저 큰 폭으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수출은 금융위기 이후 2011~2017년 동안 연평균 2.8% 증가세를 보이다 최근 5년간(2018~2022) 1.9% 증가에 그치며 둔화됐고, 지난해 6월 이후 감소세를 지속 중이다. 뿐만 아니라 넥스트차이나에 대한 수출도 부진한 가운데 최근 5년간(2018~2022) 5.5% 증가하며, 금융위기 이후 2011~2017년 동안 수출 증감률(8.0%)을 큰 폭으로 하회했고, 지난해 10월 이후 수출 부진세 확대됐다.

 

최근 수출 둔화가 경기적 요인에 기인한 것인지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것인지에 따라 상이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진단이 중요하다. 이에 본 보고서는 아세안 6개국과 인도를 포함한 7개국을 넥스트차이나로 정의하고 이들 국가로의 수출 공급경로를 살펴보고 수출 부가가치 변동을 경기적 요인과 구조적 요인으로 분해해 봄으로써 수출 부진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중국을 비롯한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으로의 수출 부진은 현지 내수 부진(경기적 요인), 싱가포르, 베트남의 경우 우회수출 부진(구조적 요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경기적 요인을 소비와 투자로 구분하면,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으로의 수출 부진은 소비 요인이,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태국으로의 수출 부진은 투자 요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요인을 투입구조(중간재 교역변화)부가가치구조(가격변동에 따른 부가가치율 변화)로 구분하면, 싱가포르와 베트남으로의 수출 부진은 양국 모두 투입구조 변화의 영향이 더 컸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수출 부진세가 심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수입시장은 점차 고부가가치화되고 있으며, 이에 하이테크 기계장비, ICT 품목 등 중고위·첨단기술 산업제품 위주의 수출지원 사업 추진 강화 노력이 중요하다. 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하고 있으나 수출에 따른 부가가치율은 금융위기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중국 수출품에 수입 중간재 투입이 감소했다는 의미로 한국의 중국 수출구조가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고도화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한국산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이 늘어나는 만큼 중국 수요에 부합하고 상대적으로 중국의 국산화가 더딘 고부가가치 부품 분야 진출 확대가 필요하다.

 

나아가 중국 수출의 현지 내수 영향이 큰 가운데, 내수 중에서도 투자 영향력이 큰 만큼 인프라 투자가 활발한 각 지방지역 진출 및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팬데믹 이후 중국 정부의 인프라(탄소중립/SOC)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수소, 모빌리티, 디지털 등 한국의 강점 분야에서 협력 확대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투자는 소비에 비해 변동폭이 커 보다 안정적인 수출을 위한 다양한 소비재 상품을 발굴이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실버, 엔젤, 1인가구, 반려, 홈코노미 등 중국 소비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넥스트차이나 역시 싱가포르, 베트남을 제외하면 대부분 현지 내수가 우리 수출을 좌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가별로 현지 투자수요 및 소비 트렌드를 감안한 진출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만족도 조사

만족도조사 참여 시 추첨을 통해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1. 1. 본 보고서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2. 2. 향후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를 계속 이용·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
AI 본문요약

하기 내용은 실시간 자연어 처리 기술을 통해 자동 요약 된 내용입니다. 자동 요약 기술의 특성상 본문의 주요 내용이 생략 될 수 있으므로 전체 내용을 이해 하시려면 본문 전체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러 수출규제 장기화시 한국성장률 최대 0.06% p↓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접근하기 시작한 19일 오전 울산에는 초속 27m가 넘는 강풍이 불고 비가 내리면서 가로수가 넘어지고 아파트 창문이 심하게 흔들리는 등 피해신고가 이어졌다.

울산 태화강에서 포항~동대구로 오가는 광역철도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운행을 멈췄다.

또 이날 오전 6시50분부터 울산대교 남구에서 동구 방향의 차량운행을 통제했다.



한눈에 보는 무역협회 서비스

수출입 단계별로 골라 쓰기

한국무역협회 회원사로 가입하면 회원사 전용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지원부터 정보제공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